네이버 주식회사는 '네이버 이용자보호 및 자율규제위원회'가 지난 1년간의 활동을 담은 2차 활동보고서를 공개했다.

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는 2023년 9월 출범하여 디지털 환경 변화에 맞춰 이용자와 파트너 보호,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힘썼다. 위원회는 지난 1년간 정기회의를 통해 AI 기술 고도화 등 빠르게 변화하는 플랫폼 산업 환경 속에서 실효성 있는 자율규제 논의를 이어갔다.

이번 활동보고서에는 AI 안전성 관리 논의를 포함한 총 7차례의 활동 내역이 담겼다. 세부적으로는 AI 안전성 체계 정립, 커머스 플랫폼 정산 주기 등 판매자 및 이용자 보호 조치, SME 사업자 디지털 전환 지원을 위한 '비즈니스 스쿨', 다크패턴 개선, SME 및 창작자 대상 상생 프로그램 '프로젝트 꽃 2.0', 고객센터 개선, 안전한 인터넷 사용 환경을 위한 그린인터넷 캠페인 등 7가지 주제를 포함한다.

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는 보고서를 통해 네이버의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각 활동의 체계적인 발전을 권고했다. 위원회는 AI 안전성 체계 확립을 위한 책임과 관리 원칙 명확화 및 교육 프로그램 강화, 네이버의 정산 시스템과 이용자 우선 대응 원칙 고도화, '비즈니스 스쿨'의 포괄적 교육 체계 확립 등을 주요 권고 사항으로 제시했다.

또한 위원회는 다양한 창작자군 지원, 고객센터 서비스에 AI 기술 활용 및 체계화, 안전한 인터넷 이용 환경을 위한 외부기관 협력 체계 구축, 다크패턴 방지를 위한 정기적 분류 체계 업데이트 및 교차 검증 체계 마련 등도 권고했다.

권헌영 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 위원장은 "플랫폼 스스로 이용자 권익 보호와 정보 전달의 투명성을 보장해야 신뢰받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는 기술 진보와 이용자 권익의 조화를 위해 점검하고 방향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유봉석 네이버 정책/RM 대표는 "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의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검색부터 커머스, 커뮤니티까지 다양한 서비스에서 이용자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네이버 자율규제위원회는 네이버의 가품 방지 및 소비자 보호 활동 분석 연구 과제 등을 추후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