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최적화 및 경량화 기술 기업 노타는 지난 8월 24일부터 28일까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된 'ITS 세계총회 2025' 참가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ITS 세계총회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 분야의 최대 국제 행사다. 노타는 이번 총회에서 국토교통부 한국관과 LG CNS 전시장 내에 공동 부스를 운영했다. 소니와의 협업 성과도 공개하며 독자적 비전 언어 모델(VLM) 기반의 ITS 기술력을 선보였다.

국토교통부 한국관에서는 생성형 AI 기반의 '지능형 돌발상황 복합검지시스템'을 전시했다. 이 시스템은 노타가 독자 개발한 VLM을 기반으로 교통사고, 화재, 도로 장애물 등 다양한 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지한다. 이벤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불필요한 알람을 최소화한 차세대 관제 기술로 주목받았다.

LG CNS 전시장에서는 노타의 AI 기반 지능형 교통관리 솔루션이 해외 관람객들의 큰 관심을 얻었다. 이 솔루션은 도로 및 항만 내 차량, 보행자 등 주요 객체의 흐름을 분석하고 돌발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알림을 제공한다. 또한, V2X 통신을 통해 다양한 에이전트와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다.

노타는 소니와 함께 미국 레이크우드 지역에서 진행한 PoC(기술 실증) 성과도 공개했다. 이 프로젝트는 보행자 안전 관리 및 교통량 분석 가능성을 검증했다. 노타의 AI 최적화 기술을 소니의 스마트 이미지 센서 'IMX500'에 적용해 100%의 정확도를 달성했다.

채명수 노타 대표는 "이번 총회를 통해 노타의 생성형 AI 기반 ITS 솔루션이 글로벌 고객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미래 스마트시티 교통 안전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타는 이미 ITS 분야에서 기술력과 상용화 경쟁 우위를 확보했다. 스마트교차로시스템(SIS) 기본 성능 평가에서 99% 이상 정확도로 '최상급' 등급을 받았다. 지난 4월에는 두바이 교통국과 공급 계약을 체결해 국내 기업 최초로 중동 지역에 생성형 AI 기반 ITS 솔루션 상용화에 성공했다.

노타는 이러한 성과를 내년 강릉 ITS 세계총회에서도 선보일 계획이다. 또한,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국가대표 AI' 개발 과제 정예팀에 선발돼 독자적인 파운데이션 모델 확보에 나섰다.

한편, 노타는 지난 8월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연내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