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주식회사가 2024년 통합보고서를 발간하며 ESG 경영 노력과 성과를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는 서치 플랫폼, 커머스, 핀테크 등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에서 창출한 ESG 가치를 상세히 다루었다.
네이버는 상생 금융 및 기술 솔루션을 통한 SME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빠른정산과 커머스 솔루션 마켓 운영을 통해 SME의 안정적인 성장을 돕는다. 또한 위조·위해상품 방지를 위한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건전한 거래 환경을 조성한다. 독거노인 및 중장년 1인 가구에게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로바 케어콜 또한 대표적인 ESG 실현 사례로 언급되었다.
특히 네이버는 기존 환경, 사회, 지배구조 중심의 전략에 'Technology for People(사람을 위한 기술)' 분야를 새로운 지속가능경영 프레임워크로 추가했다. AI 기술의 안전한 개발 및 활용, 디지털 포용성 확대, 이용자 보호 등 기술 기반 ESG 전략과 계획을 제시하여 플랫폼 기업으로서의 특성을 반영한 노력을 구체화했다.
또한 '서비스 안정성' 파트를 신설하여 재난·재해 및 장애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사 차원의 목표와 시스템을 공개했다. 이는 신뢰도 높은 서비스 운영의 가치를 강조한 것이다.
지난해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 24'에서 발표된 '임팩트 펀드'의 구체적인 계획도 공개됐다. 네이버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총 1조 원 규모의 자금을 ▲테크 임팩트 ▲비즈니스 임팩트 ▲커뮤니티 임팩트 세 가지 분야로 나누어 투자한다. 전 국민 대상 AI 캠페인, 성인 대상 AI·SW 교육, 판매자 스케일업을 위한 성장 마일리지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며 미래 세대 및 SME·창작자의 기술 및 비즈니스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환경 분야와 지배구조 분야에서의 지속가능 경영 실천 결과도 상세히 담겼다. 네이버는 지난해 총 30,925 tCO2eq의 온실가스 배출을 절감했으며, 이 중 재생에너지 사용을 통해 9,144 tCO2eq 규모의 온실가스를 감축했다. 투명하고 건전한 지배구조 체계를 확립하고 윤리 경영을 강화한 결과,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AA 등급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네이버는 개인정보보호, 인적자본 관리, 정보보안, 온실가스 및 에너지 관리 등 주요 이슈에 대해서도 글로벌 스탠다드에 준하는 전략과 목표, 성과를 제시했다. 이는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며 지속가능성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