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이 생존을 위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는 이민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셜 미디어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양측 모두 '소셜 미디어'라는 도구를 활용하지만, 그 목적과 방향은 극명하게 갈린다.
카카오톡은 이용자 체류 시간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위기 상황에 직면했다. 앱 분석업체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카카오톡의 1인당 월평균 사용 시간은 2021년 5월 822.68분에서 지난해 5월 731.85분으로 약 11% 감소했다. 이에 카카오는 단순한 메신저 기능을 넘어 이용자의 일상을 공유하고 관계를 확장하는 소셜 플랫폼으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다음 달 열리는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이프 카카오'에서 공개될 새로운 카카오톡은 '친구 탭'을 개편해 친구들의 게시물이 피드 형태로 노출되는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다. 이는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기존 SNS의 방식과 유사하며, 이용자들의 콘텐츠 소비와 공유를 유도해 체류 시간을 늘리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023년 인스타그램 스토리와 비슷한 '펑' 서비스를 출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이민 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 감시를 전면에 내세웠다. 미 국토안보부 산하 이민국(USCIS)은 장기 체류나 시민권을 신청하는 사람들의 소셜 미디어 게시물을 심사해 '반미(反美) 성향'이 드러나는지를 가려내겠다고 밝혔다.
이민국 대변인은 "미국을 증오하고 반미 이념을 가진 이들에게 미국의 특혜가 돌아가선 안 된다"고 밝히며 이민 혜택이 권리가 아닌 특권임을 강조했다. 소셜 미디어 게시물을 이민 심사 기준으로 삼는 것은 객관적 기준이 모호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지지 등 정치적 이유로 유학생 비자 취소를 대폭 늘리는 등 반이민 정책 기조를 강화하고 있다.
카카오톡에게 소셜 미디어는 플랫폼의 활력을 되찾고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기 위한 '생존'의 도구다.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관계 형성을 촉진해 플랫폼의 가치를 높이려 한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에게 소셜 미디어는 이민자를 걸러내고 통제하는 '감시'의 수단이다.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키고 특정 사상에 대한 배제를 정당화하는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소셜 미디어는 플랫폼의 성장을 이끄는 긍정적인 도구이자, 동시에 개인의 사상과 자유를 억압하는 통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양면성을 보여준다. 카카오톡의 변화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은 소셜 미디어를 둘러싼 상반된 시선과 목적을 극명하게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