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커머스 서비스뿐 아니라 카페, 밴드, 블로그 등 커뮤니티 기반 UGC 영역으로까지 확대하며 네이버 전반의 안심 거래 생태계 구축을 강화한다.
네이버는 지난해 10월부터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통해 위조상품 유통 방지, 비정상 거래 탐지, 위해상품 유통 차단 등 이용자 보호를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네이버 생태계 전반에서 위조상품 신고 및 게시물 등록 건수가 급감하고 있다.
네이버는 AI 탐지 및 모니터링을 통해 위조상품에 대한 판매자 신뢰도를 점검하고 거래 안정성을 강화한다. 스마트스토어 입점 단계부터 위조 이력이 있는 판매자를 사전 차단하고, 도용 의심몰을 사전에 탐지하는 기술 조치를 강화했다.
또한, '위조상품 클린 프로그램' 정책을 병행하여 월평균 1천 개 이상의 판매 몰을 사전 차단했다. 그 결과, 올해 쇼핑 영역에서의 위조상품 사전 대응률은 95.6%까지 상승했다.
플랫폼의 직접 감정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올해 협력하는 권리사 및 브랜드사를 300여 곳으로 확대하고, 전문 감정기관과도 협업하여 위조 의심 상품에 대한 검증을 이어가고 있다. 더불어 특허청의 '위조상품 유통 방지 협의체'에 10년 이상 참여하며 자율규제 노력에도 힘쓰고 있다.
안심보장 활동의 노하우는 UGC 생태계로도 빠르게 확장됐다. 카페와 밴드에서는 위조상품 관련 키워드를 기반으로 검색 결과 노출을 차단하고, 관련 커뮤니티 개설과 게시글 등록을 제한하는 사전 기술 대응에 주력한다. 블로그 및 카페에서는 위조상품 판매 및 홍보 게시글 차단을 위한 탐지 툴을 고도화하고, 개별 커뮤니티 단위로 제재 조치를 확대하고 있다.
그 결과, 2025년 상반기 카페, 밴드, 블로그에서의 위조상품 판매 게시중단 신고는 전년 동기 대비 50% 감소했다. 네이버는 연내 밴드에서 가품 신고 메뉴 접근성을 개선하고, 위조상품 자동 탐지 기능을 고도화하는 등 UGC 영역에서의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오는 9월 1일부터는 ‘지식재산권 클린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쇼핑 서비스 내 지식재산권 침해 상품으로부터 권리자와 구매자 보호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선다. 동일 판매자가 한 주에 20건 이상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경우, 단계별 조치를 강화하여 반복된 침해가 발생하면 판매 몰의 모든 상품이 일정 기간 쇼핑 검색에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현금 직거래 유도, 외부 피싱 사이트 유인 등 피싱 패턴을 감지하는 탐지 툴을 개선하고 악성 판매자 및 의심 몰에 대한 사전 조치를 강화했다. 이에 따라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누적 구매자 피해 신고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80% 이상 감소했다.
이와 함께 의약품 및 동물 의약품의 온라인 유통 차단을 위해 식약처와 핫라인을 구축하고 안전 상품 DB를 쌓는 등 위해 상품으로부터 구매자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간다. 네이버는 쇼핑, UGC 등 네이버 생태계 전반에서 안심보장 프로그램을 확대해 건강한 플랫폼 환경을 구축하고 서비스 신뢰도를 높여가고 있다.